2020/01/29 - [투자 이야기] - 단기자금운용: 암호화폐를 활용한 달러투자 기법 - ①배경편
단기자금운용: 암호화폐를 활용한 달러투자 기법 - ①배경편
도미닉입니다. 개인이든 기관이든 1년 이내의 단기자금을 운용하려는 수요는 많지만 최근 예금 금리나 국가별 국고채 수익률을 봤을 때, 솔직히 손이 잘 나가지는 않습니다. 심지어 일본, 독일, 프랑스 국채는 마..
dominic-invest.tistory.com
2편을 시작하기에 앞서, 1편 관련된 질문 사항에 대한 답변을 드리고자 합니다.
Q1. 왜 시총이 제일 큰 스테이블 코인인 USDT가 아닌 DAI를 예시로 들었나요?
A. 스테이블 코인을 대표하는 3가지의 암호화폐가 있습니다. DAI, USDC, USDT는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DAI는 대표적인 탈중앙화금융에 활용되는 스테이블코인 입니다.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DAI는 신용위험이 거의 없고 유동성이 부족하며, USDT는 신용위험이 상대적으로 높고 유동성이 좋습니다. USDC는 그 사이 어딘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우수하다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유동성 위험은 시장의 성장으로 해결할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신용위험은 근본적으로 제거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라 개인적으로 DAI를 조금 더 선호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운용전략을 세워서 가져간다면 적절히 스테이블 코인 별로 분산투자 하는 것도 방법 중에 하나 입니다.
구분 | DAI | USDC | USDT |
거래소 파산 위험 | X | △ | ○ |
발행자 파산 위험 | X | ○ | ○ |
입출금 위험 | X | ○ | ○ |
블록체인상 운영위험 | ○ | ○ | ○ |
시가총액* | 104백만USD (53위) | 452백만USD (28위) | 4,655백만USD (6위) |
유동성 | 낮음 | 중간 | 높음 |
▲2020년 1월 29일 기준▲
모든 카테고리는 위 3가지 스테이블 코인으로 나눠서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단기자금 운용 시에 스테이블 코인별로 비율별로 나눠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이유는 저가 매수 기회 증가, 회수 시에 유리한 스테이블 코인 활용 등이 있고 각각의 장단점 활용도 가능합니다.
① DAI: 신용위험도가 낮음. 탈중앙화 플랫폼 이용. 최초 취득이 어려움.
② USDC: 유동성이 적당히 높고, 탈중앙화 플랫폼도 이용가능. 최초 취득이 쉬움.
③ USDT: 유동성이 높아 수익 회수 시에 가장 편리함. 최초 취득이 가장 쉬움.
입출금 할때나 블록체인 활용 시에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분산으로 누릴 수 있는 효과보다 수익률에 악영향을 줍니다. 소액으로 투자하는 경우는 굳이 나눠서 하는 것을 추천 드리지 않습니다. 여기서 소액이란 약 1천만원 미만을 의미 합니다.
1. 스테이블 코인 취득
2. 스테이블코인 예치 - 탈중앙화 플랫폼
3. 스테이블코인 예치 - 중앙화 플랫폼
1. 스테이블 코인 최초 취득
모든 자산을 매매할 때 최우선이 '싸게 사서 비싸게 팔기' 입니다.
그 다음은 '싸게 사서 싸게 팔기' 입니다. 일단 싸게 사기만 하면 싸게 팔더라도 손실이 줄어듭니다.
1편에서 설명드린대로 그렇기 때문에 국내외 가격차이가 음수(-)로 나면서 약 -3%초과로 차이가 날 때 최초 취득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국내외 가격 비교는 아래 사이트를 추천 드립니다. 원하는 코인 티커(예, DAI, USDC, USDC)를 넣으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① DAI
DAI는 취득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쳐야 하는 과정 또한 단계별로 있습니다.
그리고 본 안내는 가격, 유동성 그리고 전송속도를 함께 고려한 추천이므로 실제 거래소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개인별로 달라질 수 있는 점 참고 부탁 드립니다.
<사전 준비 작업>
본인 명의의 K뱅크 계좌 준비
업비트(https://www.upbit.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위 작업을 농협은행-빗썸또는코인원 으로도 가능합니다.)
코인베이스프로(https://pro.coinbase.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각 거래소 이더리움, DAI 인출 가능여부 사전 확인
▶ 업비트 거래소 원화(KRW)현금 입금
▶ 업비트 거래소 이더리움(Ethereum, ETH) 매수
▶ 코인베이스프로 이더리움(Ethereum, ETH) 전송
▶ 이더리움 매도, USDC 취득 (https://pro.coinbase.com/trade/ETH-USDC)
▶ USDC를 바탕으로 DAI 매수 (https://pro.coinbase.com/trade/DAI-USDC)
5가지 작업을 완료 하면, DAI를 최초 취득하실 수 있습니다. 이 방법 말고도 다른 거래소들을 이용한 방법도 충분히 많습니다. 하지만 1만DAI, 약 1만달러만 취득 시도를 하더라도 다른 방법들은 꽤 어려움을 느끼실겁니다.
이렇게 취득한 DAI는 메타마스크를 활용한 개인지갑으로 인출하셔야 합니다.
이제 나만 통제 할 수 있는 금융기관이나 거래소를 통하지 않는 달러표시 자산을 취득 했습니다.
https://cryptocurrencyclub.tistory.com/41
메타마스크 사용법
작성일: 18/03/01 작성자: Krypto(heknows)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타마스크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메타마스크는 이더리움 지갑 플러그인으로 구글크롬에서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렛져등 오..
cryptocurrencyclub.tistory.com
② USDC
USDC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다양합니다.
<사전 준비 작업>
본인 명의의 K뱅크 계좌 준비
업비트(https://www.upbit.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위 작업을 농협은행-빗썸또는코인원 으로도 가능합니다.)
▼ 3개 거래소 중 택1 (셋 다 만들어 놓는걸 추천 드립니다)
바이낸스(https://www.binance.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코인베이스프로(https://pro.coinbase.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폴로닉스(https://poloniex.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각 거래소 이더리움(비트코인), USDC 인출 가능여부 사전 확인
▶ 업비트 거래소 원화(KRW)현금 입금
▶ 업비트 거래소 이더리움(Ethereum, ETH) 매수 (비트코인 가능)
▶ 3개 거래소 중 하나 선택해서 이더리움(Ethereum, ETH) 전송 (비트코인 가능)
▶ 이더리움(또는 비트코인) 매도, USDC 취득 (https://poloniex.com/exchange#usdc_eth)
거래소를 굳이 3개를 만들라고 설명 드리는 이유는 각각 가격이 미세하게 차이가 납니다. 그 때마다 유리한 거래소를 선택해서 전송, 매매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선택은 전송속도에 기인합니다. 비트코인이 유동성이 더 좋고 전송속도가 느리며, 이더리움은 정반대 입니다. 이동 시간동안 가격 변동을 견딜 수 있다면 비트코인을 추천드리며 반대라면 이더리움을 추천 드립니다.
그리고 공통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가격(가격 높은 거래소), 유동성(내가 원하는 만큼의 USDC 수량이 호가에 받쳐주는지) 그리고 출금 수수료 입니다. 이부분은 모든 스테이블 코인 취득 시의 공통사항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취득한 USDC는 메타마스크를 활용한 개인지갑으로 인출하셔야 합니다. USDC는 탈중앙화플랫폼에 예치할 수도 있고, 중앙화거래소 플랫폼에 예치도 가능합니다.
② USDT
시가총액 6위에 걸맞는 USDT(테더달러) 답게 이를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은 매우 많습니다.
<사전 준비 작업>
본인 명의의 K뱅크 계좌 준비
업비트(https://www.upbit.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위 작업을 농협은행-빗썸또는코인원 으로도 가능합니다.)
▼ 3개 거래소 모두
비트파이넥스(https://www.bitfinex.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폴로닉스(https://poloniex.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바이낸스(https://www.binance.com/) 가입 및 본인인증 작업
각 거래소 이더리움, USDT 인출 가능여부 사전 확인
▶ 업비트 거래소(또는 빗썸, 코인원) 원화(KRW)현금 입금
▶ 업비트 거래소 이더리움(Ethereum, ETH) 매수 (비트코인 가능)
▶ 3개 거래소 중 하나 선택해서 이더리움(Ethereum, ETH) 전송 (비트코인 가능)
▶ 이더리움(또는 비트코인) 매도, USDT 취득 (https://www.binance.com/en/trade/BTC_USDT)
USDT도 자체 블록체인, ERC 등으로 활용할 수는 있으나 상대적으로 활용도가 떨어지고 대부분이 중앙화 거래소에 예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굳이 출금해야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리고 3개 거래소 모두 라고 쓴 이유는 실제로 예치가 저 3개 대형 거래소에서 많이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 출금수수료 및 매매수수료가 수익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아래 참고용 수수료는 계속 변동하고 있으니 실제 운용 시에는 사전에 다시 확인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구분 | Upbit | Binance | Poloniex | Bitfinex | CoinbasePro |
BTC | 0.0005 | 0.0004 | 0.0005 | 0.0004 | TBA |
ETH | 0.010 | 0.003 | 0.010 | 0.00135 | TBA |
DAI | 입출금중단 | N/A | N/A | N/A | TBA |
USDC | N/A | 0.92 | 0.02 | 0.20289 | TBA |
USDT (ERC) | 입출금중단 | 0.92 | TBA | 0.00135 | TBA |
USDT (OMNI) | 입출금중단 | 4.74 | TBA | 5.00 | TBA |
매매 수수료 | 0.05% | 0.10% | 0.09% | 0.20% | 0.50% |
▲거래소별 출금수수료, 매매수수료▲
쓰다보니 길어졌네요.
다음편은 ③실전편(예치, 탈중앙화) 으로 이어지겠습니다.
'디지털자산(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배분: 금(Gold)에 투자하는 가장 유리한 방법은? XAUT (0) | 2020.05.22 |
---|---|
바이낸스 비트코인 옵션은 살만 한가요? (0) | 2020.04.27 |
단기자금운용: 암호화폐를 활용한 달러투자 기법 - 번외편(코인원) (0) | 2020.03.10 |
단기자금운용: 암호화폐를 활용한 달러투자 기법 - ③실전편(예치, 탈중앙화) (0) | 2020.02.05 |
단기자금운용: 암호화폐를 활용한 달러투자 기법 - ①배경편 (0) | 2020.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