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자산(암호화폐)

단기자금운용: 암호화폐를 활용한 달러투자 기법 - ③실전편(예치, 탈중앙화)

DFU 2020. 2. 5. 13:34

2020/01/29 - [투자 이야기] - 단기자금운용: 암호화폐를 활용한 달러투자 기법 - ①배경편

 

2020/01/31 - [투자 이야기] - 단기자금운용: 암호화폐를 활용한 달러투자 기법 - ②실전편(취득)

 

3편을 시작하기에 앞서, 2편을 완성하자마자 관련된 요청사항이 있었습니다.

 

'거래소 별로 출금/거래 수수료를 올려달라!' 

 

거래소 마다 정책 및 수수료 변동이 상이한 부분이라 포스팅 할까 고민하다가 당시(1월 30일) 기준으로만 올렸습니다.

2편에 있습니다.

 

하지만 거래소 출금수수료, 매매수수료는 거래소의 그 당시의 정책 마다 매우 달라집니다. 그리고 실제로 거래 금액마다 영향도가 투자자마다 차이가 큽니다.

 

당연히 거래 금액이 크면 출금수수료나 거래수수료가 줄어듭니다. 반대로 유동성에 대한 위험도는 올라갑니다.

꼭 사전에 확인하시고 거래 및 입출금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질문이 한 가지 더 있었습니다. 

 

 

Q1. 한국 내 거래소는 꼭 업비트여야 하나요?

 

A. 아닙니다. 국내 4대 거래소 어디나 활용 가능합니다.

 

국내 4대 거래소라 함은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을 말합니다. 하지만 각 거래소에 연계된 은행을 사전에 아셔야 하는데요. 신규 거래소 계좌 오픈 시에는 꼭 연계은행이 필요하니 사전에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예기치 못하게 입출금이 종종 막히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계좌는 사전에 늘 필요하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거래소 연계은행
업비트 기업은행
빗썸 농협은행
코인원 농협은행
코빗 신한은행

 


 

2. 스테이블코인 예치 - 탈중앙화 vs. 중앙화 금융플랫폼

이제 주요 스테이블 코인인 DAI, USDC, USDT를 취득 했습니다. 

 

취득한 스테이블 코인은 은행과 유사한 금융플랫폼에 맡겨야 합니다. 

 

금융플랫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탈중앙화 금융플랫폼, 중앙화 금융플랫폼이 그것 입니다.

 

탈중앙화 금융플랫폼은 기본적인 정책과 이자율 등이 탑재되어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신용위험이 극도로 낮습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Compound Finance, Nuo Network 등이 있습니다. DAI를 최초에 만드는 MakerDao가 가장 큰 탈중앙화 금융플랫폼이지만 우리의 목적은 달러 표시 스테이블 코인의 예치이기 때문에 이는 제외 했습니다. 

 

https://defipulse.com/

이곳에 방문하시면 다양한 탈중앙화 금융플랫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설명드리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 예치 뿐만 아니라 여러 금융기법들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탈중앙화 금융플랫폼(Decentralized Finance, Defi)은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앙화 금융플랫폼은 대부분 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거래소가 Bitfinex, Poloniex, Binance 등이 있습니다.

 

다만 중앙화 거래소 이용 시 가장 유의할 부분은 거래소의 파산 위험 입니다. 나열해 드린 3개의 거래소는 실제 거래대금 기준으로 세계 상위 20위 안에 드는 대형 거래소 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대형 거래소들도 해킹, 경영상 이슈 등의 사유로 파산 가능성은 늘 존재 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앙화 거래소들은 기술적인 부분 및 수탁 프로세스 등 여러가지로 노력 중에 있습니다.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45676

 

비트파이넥스 사태와 마운트곡스 파산의 공통점 - 코인데스크코리아

*칼럼을 쓴 대니얼 코리(Daniel Cawrey)는 계량적 암호화폐 투자 회사 팩텀 캐피털(Pactum Capital)의 CEO이고, 시나 네이더(Sina Nader)는 팩텀 캐피털의 투자 홍보 책임자로 과거 모건스탠리 및 크레디트스위스...

www.coindeskkorea.com

 

블록체인 상에 존재하는 코인은 탈중앙화 플랫폼, 중앙화 플랫폼 모두 예치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예, DAI)을 중앙화 거래소에 맡기게 되면 또다시 거래소의 신용위험에 노출 됩니다.

 

그리고 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예, USDT)을 중앙화 거래소에 예치하면 2중으로 신용위험(중앙화 스테이블 + 중앙화 거래소)에 노출되게 됩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중앙화 여부는 거래소, 코인 별로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 점 유의해서 판단하시면 됩니다.

 

  탈중앙화 플랫폼 중앙화 플랫폼(중앙화 거래소)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 신용위험 거의 없음① 신용위험 있음(중앙화 거래소)
중앙화 스테이블 코인 - 신용위험 있음(이중 노출)②

 

크게 두 가지를 설명 드릴 예정입니다.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을 탈중앙화 플랫폼에 예치하는 경우: DAI to Compoud.finance

 

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을 중앙화 플랫폼에 예치하는 경우: USDT to Poloniex/Binance

 


 

① DAI to Compoud.finance

 

탈중앙화 금융플랫폼 예치(Lending) 순위 (출처: Defipulse)

컴파운드(https://compound.finance/)는 실제로 스테이블코인을 순수하게 예치할 수 있는 서비스 중에 가장 큽니다.

 

맡겨진 전체 금액은 155백만 달러 한화 1,800억원 수준이고 DAI로 맡겨진 금액은 28백만 달러 한화 330억 수준입니다. 

컴파운드 예치(Supply) 대출(Borrow) 및 금리 (2020년 2월 5일 기준)

 

이제부터 차례대로 하시면 됩니다.

 

#1. 메타마스크(Meta Mask) 크롬익스텐션에 설치, 사용법 확인, DAI ETH 입금

 

메타마스크 사용법은 2편에 링크를 통해 실어 놓았습니다. 다만 꼭 당부 드리는 점은 개인지갑은 그 누구도 보호해주거나 관리해주지 않습니다. 여러 사고 사례들이 있는데요.

 

이 부분은 위험관리편에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개인지갑에 DAI 및 소량의 이더리움(약 0.1ETH 수준, 수수료로 차후 계속 활용)을 입금 합니다.

 

#2. 사이트 접속(https://compound.finance/) 후 우측상단의 APP 선택

 

#3. Connect Wallet에서 하단 Meta Mask 선택 및 비밀번호 입력 후 로그인

 

 

#4. Connect Wallet에서 하단 Meta Mask 선택 및 로그인

 

#5. 좌측 중간에 Dai 클릭 후 Enable로 지갑 활성화

 

샘플로 10DAI를 입금해 두었습니다. 좌측하단에 보시면, Wallet Balance에 10DAI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에 보시면 Supply는 예치,렌딩을 의미합니다.

 

이자를 받고 싶으시면 활성화 된 커서가 있는 곳에 예치하고 싶은 만큼의 DAI 갯수를 입력하고 우측하단의 SUPPLY를 클릭 하시면 이자 받기가 시작 됩니다. 

 

#6. 예치여부 확인

 

예치가 온전하게 되고 있으면 이전 아무것도 없던 화면에서 Callateral Balance에 숫자가 잡히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조금만 기다리시면 그 숫자가 조금씩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자 증가까지 확인하시면 탈중앙화 금융플랫폼인 컴파운드 예치는 끝이 납니다. 참 쉽죠?

 

 

 

쓰다보니 또 길어졌네요. 매번 분량조절 실패 하는 것 같습니다.

 

다음편은 ④실전편(예치, 중앙화)으로 이어지겠습니다.

 

반응형